팁/일상 팁

2025 지방소득세 종합소득분 신고 대상은 누구입니까? 정확히 알아보자

오치리일상 2025. 4. 23.

2025 지방소득세 종합소득분 신고 대상은 누구입니까? 정확히 알아보자

2025 지방소득세 종합소득분 신고 대상은 누구입니까? 지방소득세 종합소득분은 개인이 1년간 벌어들인 종합소득에 대해 납부해야 하는 지방세입니다. 이는 종합소득세와 함께 매년 5월에 신고·납부하는 세금으로, 종합소득세를 신고하는 사람은 자동적으로 지방소득세도 함께 신고해야 합니다. 본인의 소득 유형과 규모에 따라 신고 대상 여부가 달라질 수 있으며, 정확한 기준을 파악하고 기한 내 신고해야 가산세를 피할 수 있습니다.

종합소득세를 내는 사람이라면 모두 대상입니다

지방소득세 종합소득분은 기본적으로 종합소득세 납세 대상자와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즉, 종합소득세를 신고하는 개인은 누구나 지방소득세 종합소득분도 의무적으로 신고해야 합니다. 여기에는 사업소득자, 부동산 임대소득자, 근로소득이 2개 이상인 자, 기타소득 발생자, 연금소득과 함께 다른 소득이 있는 사람 등이 포함됩니다. 특히 프리랜서나 1인 자영업자는 해마다 이 신고를 빠짐없이 진행해야 하며, 세금 회피 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어떤 소득이 포함되나요?

신고 대상이 되는 종합소득에는 ▲사업소득 ▲근로소득 ▲이자소득 ▲배당소득 ▲연금소득 ▲임대소득 ▲기타소득이 포함됩니다. 예를 들어 프리랜서 강사료, 콘텐츠 창작 수입, 온라인 판매 소득, 부동산 월세 수익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만약 이러한 소득을 연간 일정 금액 이상 벌어들였다면 종합소득세와 함께 지방소득세 종합소득분도 함께 신고해야 합니다. 특히 복수소득자(근로+사업 등)는 합산 신고 대상이 됩니다.

누가 제외되나요? 신고 대상이 아닌 사람

연말정산만으로 소득 신고가 끝나는 단일 근로소득자, 비과세 소득만 있는 자, 금융소득이 일정 금액 이하로 분리과세되는 경우는 지방소득세 종합소득분 신고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예를 들어 연 2천만 원 이하의 금융소득이 있는 단일 근로자는 별도로 종합소득세를 신고하지 않으므로 지방소득세 종합소득분 신고도 필요 없습니다. 단, 소득유형이 복합적이거나 소득 합계가 커지는 경우에는 반드시 신고 대상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언제, 어떻게 신고하나요?

신고 기간은 매년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입니다. 홈택스에서 종합소득세를 신고하면 위택스로 자동 연동되어 지방소득세 종합소득분 신고도 함께 진행됩니다. 또는 위택스에 직접 접속하여 수동으로 신고할 수도 있습니다. 납부는 카드, 계좌이체, 간편결제 등으로 가능하며, 미신고 또는 납부 지연 시에는 가산세(무신고 20% + 납부불성실 0.025%/일)가 부과됩니다.

 

신고 금액은 얼마나 되나요?

지방소득세 종합소득분은 종합소득세 산출세액의 10%를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종합소득세로 200만 원을 납부한다면, 지방소득세는 200만 원 × 10% = 20만 원이 됩니다. 지자체 조례에 따라 일부 감면 혜택이 있을 수 있으며, 성실신고확인 대상자의 경우 별도 서류 제출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국세청 및 지자체의 모의 계산기를 통해 예측 세액을 미리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2025년 주의사항 및 실수 방지 팁

2025년에는 모바일 신고 시스템이 확대되어 위택스에서도 스마트폰으로 간편하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다만, 종합소득세만 신고하고 지방소득세를 누락하는 실수가 여전히 많으므로, 홈택스와 위택스를 동시에 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특히 복수의 사업장을 가진 프리랜서나 자영업자는 사업장 소재지 기준으로 각각의 지방소득세 신고 여부를 점검해야 하며, 신고 확인증을 반드시 보관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댓글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