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년 최저시급과 주급 | 월급 | 연봉 계산
1. 최저시급
올해 2024년에는 최저시급이 9,860원(2023년 9,620원 대비 2.5% 인상)으로 정해졌습니다.
월급으로 따져보면 (2023년 2,010,580원)에서 (2024년 2,060,740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 이는 주 40시간 기준으로 유급주휴는 8시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최저시급 대상은 1인 이상 근로자를 사용하는 모든 사업 또는 사업장이 해당합니다.
*(주휴수당 - 근로기준법에 휴일에는 1주일 동안 소정의 근로일수를 개근한 근로자에게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주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유급휴일에 받는 것을 '주휴수다'이라고 합니다.)
2. 임금 계산
네이버 임금계산기로 2024년 최저시급이 적용된 임금을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 시급(주급, 월급)
- 주급
- 최저시급을 주급으로 환산해 보겠습니다.
- 한주 근무시간은 48(하루 8시간, 주5일, 주휴시간 8시간)시간입니다.
- 9,860원(시급) X 48시간(근무시간) = 473,280원이 예상되는 주급입니다.
- 월급
- 최저시급을 월급으로 환산해 보겠습니다.
- 한달 근무시간은 209(하루 8시간, 주5일, 월 근로시간은 주휴시간 35시간을 포함)시간입니다.
- 9,860원(시급) X 209시간(근무시간) = 2,060,740원이 예상되는 월급입니다.
- 예상월급은 주휴수당이 제외된 월급입니다.
- 연봉
최저시급을 연봉으로 환산해보겠습니다.
예시로 연봉 3,000만 원일 때 계산해 보겠습니다.
비과세액 240만 원(대표적인 비과세항목은 식대 월 20만 원까지입니다.)
부양가족수는 본인포함 1명, 그리고 20세 이하 자녀수는 기본으로 0명으로 없다고 하겠습니다.
- 년 예상 실수령액 27,019,800원이고
- 월 환산금액 2,251,650원 이 되겠습니다.
- 그리고 월 4대 보험료는 (연봉 3000만 원 기준 월 248,350원)
- 국민연금(4.5%) 103,500원
- 건강보험(3.545%) 81,530원 - 요양보험(12.95%) 10,550원
- 고용보험(0.9%) 20,700원
- 근로소득세(간이세액) - 지방소득세(10%) 2,910원
- 산재보험은 전액 회사 부담
- 국민연금의 근로자 최대 부담액은 265,500원
이를 위반 시 '3년 이하의 징역 떠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부과, 병과 가능'합니다.
임금을 제대로 받지 못하시는 분은 꼼꼼히 임금 계산을 해보시고 고용노동부에 신고를 하시면 됩니다.
'팁 > 일상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합부동산소득세에 대하여 알아야 할 중요한 사항 7가지 (1) | 2024.02.26 |
---|---|
가족관계증명서 인터넷 발급 방법은? (0) | 2024.02.26 |
40대 여자친구 생일 선물 BEST 20 (0) | 2024.02.21 |
30대 여자친구 생일 선물 BEST 20 (0) | 2024.02.21 |
20대 여자친구 생일 선물 BEST 20 (0) | 2024.02.21 |
댓글